Ubuntu 는 Linux 커널에서 사용하는 OS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Ubuntu 운영체제에서 Tomcat (WAS) 만을 이용한 서버를 구축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톰캣 설치 파일이 필요하다
1
톰캣 다운 및 설치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Apache Tomcat® - Apache Tomcat 8 Software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omcat® 8.x software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s of Tomcat 8.x software,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Unsure which version you need? Specification versions
tomcat.apache.org
위의 홈페이지에서 톰캣을 설치하자
나의 경우 8.5.77 버전을 설치했다
[Core]의 [tar.gz] 를 클릭해서 다운을 받자
나는
파일질라를 통해서 파일을 서버에 올리는게 개인적으로 편해서,
파일질라를 통해 파일을 올렸다
호스트는 서버 접속용 IP와 포트번호를 입력하고
사용자와 비밀번호는 서버에 설정된 접속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이 후, 터미널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SSH에 접속하자
맥은 터미널 창에서 원격 접속이 가능하다
아래의 포스팅 글을 참조하자
https://hdhdeveloper.tistory.com/87
MAC에서 ssh 원격 접속하기 (ssh key 설정 포함)
외부에서 서버에 접속해서 제어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Mac에서 터미널을 이용해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려고 한다 SSH 시큐어 셸(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
hdhdeveloper.tistory.com
파일질라에서 톰캣을 넣은 경로로 찾아가서 파일을 원하는 곳에 위치하자
나는 파일을 받은 root 경로에서 바로 압축을 풀었다
그럼 해당 압축 파일 명대로 폴더가 생길 것이다
해당 폴더에서 bin 폴더에 들어가보면
[startup.sh]
[shutdown.sh]
쉘 스크립트 파일이 보일 것이다
현재 아무런 프로젝트가 톰캣에 올라가 있지 않아서, 톰캣의 루트 페이지가 출력된다
해당 bin 폴더로 진입해서 startup.sh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하자
cd root/apache-tomcat-8.5.77/bin
./startup.sh
|
cs |
위의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설치한 톰캣이 실행된다
그리고 아래의 URL을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해보자
http://[내 서버 IP:내 서버 포트번호]
해당 페이지가 나오면 성공적으로 서버에 톰캣을 설치했다
프로젝트를 톰캣에 올리는 것, 서버 로그 설정 등은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진행할 예정이다
'개발 > B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Framework] 게시판 페이징 기능 예제 ,쉽게 페이징을 구현하자 (0) | 2022.05.10 |
---|---|
[Ubuntu 보안 설정] Fail2Ban SSH 구축 방법 무작위 대입 공격 (Brute-Force) 대응하기 (0) | 2022.05.03 |
ssh 원격 접속하기 (ssh key 설정 포함) (0) | 2022.04.28 |
[NCP]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 쌓는 법 Cloud Log Analytics (0) | 2022.04.28 |
[Mysql] db data export import 데이터베이스 엑셀 export import 하기 (0) | 2022.04.28 |